전체 글
-
발룬 (Balun) 이란 무엇일까?RF 2025. 7. 1. 07:29
Balun은 Balanced to Unbalanced의 약자입니다.즉, 균형 신호(Balanced signal) ↔ 불균형 신호(Unbalanced signal) 간 전기적 변환을 해주는 회로 소자입니다.1. 왜 발룬이 필요한가?구분설명예시Balanced두 선이 대칭이며 지면에 대해 전기적으로 떠 있음다이폴 안테나, 트위스트 페어Unbalanced한 선은 접지에 연결, 다른 한 선에만 신호가 흐름동축 케이블, 일반 RF 신호선RF에서는 Balanced와 Unbalanced 간의 정확한 인터페이스가 필수입니다. Miss Matching 발생 시 왜곡, 전력 손실, 노이즈 유입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2. 발룬의 주요 기능기능설명신호 변환Balanced ↔ Unbalanced 변환 (입력/출력단 연결을 용이..
-
도허티 증폭기는 무엇일까?RF 2025. 6. 30. 07:45
도허티 증폭기(Doherty Amplifier)는 고출력 전력 증폭기에서 중간 출력 영역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구조입니다. 1936년 W.H. Doherty가 처음 고안했으며, 현대 RF/마이크로파 시스템(기지국, 레이더, 위성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1. 기본 개념과 구성 요소① 기본 구성도허티 증폭기는 두 개의 증폭기로 구성됩니다.이름역활Carrier 증폭기 (Main)항상 동작하며 전체 출력의 대부분을 담당Peaking 증폭기 (Auxiliary)고출력 시에만 동작하여 효율 향상 기여② 결합 방식두 증폭기는 λ/4 임피던스 변환선(Quarter-wave transformer)을 통해 병렬 연결됩니다.출력단은 공통 부하(R_L)에 연결됩니다.③ 핵심 특징출력 레벨에 따라 동적으로 부하를 ..
-
ADS의 장/단점과 선호하는 이유RF 2025. 6. 26. 08:31
ADS(Advanced Design System)는 Keysight Technologies에서 개발한 고주파 회로 및 시스템 시뮬레이션 툴입니다. RF, 마이크로파, 고속 디지털 회로 설계에 특화된 툴로,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ADS(Advanced Design System)를 선호하는 이유는 실무 중심의 강력한 기능성과 신뢰성 때문입니다. 1. ADS 시뮬레이션의 장점 ① 고주파 회로에 특화된 시뮬레이션S-파라미터, 임피던스 매칭, 스미스 차트 기반 설계가 용이RF PA, 믹서, 발룬, 필터, 커플러 등의 시뮬레이션에 매우 강력② 회로 ↔ 레이아웃 통합 설계스키매틱과 레이아웃이 통합되어 설계 흐름이 자연스럽고 빠름EM 시뮬레이션과 연동하여 실제 기생효과까지 고려 가능③ 강력한 Tuni..
-
OPAMP의 유래와 설계 방법RF 2025. 6. 25. 14:40
OPAMP(Operational Amplifier, 연산 증폭기)는 아날로그 전자회로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로,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원래는 수학적 연산(덧셈, 뺄셈, 미분, 적분 등)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던 증폭기입니다. 현재는 단순 증폭은 물론 필터, 비교기, 발진기, 전류-전압 변환기 등 다양한 회로에 널리 응용됩니다. OPAMP는 고이득, 고입력 임피던스, 저출력 임피던스를 가지며, 이상적인 선형 증폭기 모델로도 자주 활용됩니다.1. OPAMP의 유래와 발전 과정① 진공관 연산 증폭기 (1940년대~1950년대)OPAMP의 기원은 제2차 세계대전 시기의 아날로그 컴퓨터 회로로 거슬러 올라갑니다.당시 미군에서는 포탄 궤적 계산기나 제어 시스템에 미분, 적분 기능을 수행하는 연산 회로가 필요..
-
FWD Detector, RVS Detector의 설명과 설계 방법RF 2025. 6. 24. 21:17
FWD DET(Forward Detector)와 RVS DET(Reverse Detector)는 RF 시스템에서 전력 흐름을 감지하는 중요한 측정 회로입니다. 주로 송신기의 출력부나 HPA 모듈에 탑재되어 순방향 전력(Forward Power)과 반사 전력(Reflected Power)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VSWR(전압정재파비), 출력 모니터링, 보호 회로(Fault Detection) 등에 활용됩니다. 이러한 검출기는 주로 검출 회로의 구성, 주파수 특성, 정확도,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됩니다.1. 검출 방식에 따른 구분: 정류형 vs 샘플링형① 정류형 검출기 (Diode Rectifier Type)RF 신호를 다이오드를 통해 정류하여 DC 전압으로 변환전압 크기 ∝ 전력 수준가장 단순하고 저가형..
-
도파관(Waveguide)을 사용하는 이유RF 2025. 6. 24. 15:16
도파관 컴바이너(waveguide combiner)는 고주파(RF, 마이크로파) 신호를 여러 개 결합하여 하나의 출력으로 전달하는 고출력 RF 시스템의 핵심 부품입니다. 주로 송신기, 레이더, HPA(High Power Amplifier), 위성 지상국 등에서 사용되며, 낮은 손실과 높은 전력 핸들링 특성이 요구됩니다. 도파관 컴바이너는 결합 방식과 구조, 사용 주파수 대역, 응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분됩니다. 특히 고출력 HPA Test시에도 필수적 입니다.1. 결합 방식에 따른 구분: 하이브리드형, 매칭형, 다이렉트형도파관 컴바이너는 결합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① 하이브리드 커플러 방식 (Hybrid Coupler Type)두 개의 신호를 90° 또는 180° 위상차를 ..
-
주파수 Band 구분과 사용처RF 2025. 6. 24. 08:37
주파수 밴드는 전자기파의 주파수 범위를 일정 기준에 따라 나눈 것으로, 각 밴드는 특정한 특성과 용도에 맞게 사용됩니다. 국제기구(ITU)나 군사·산업·통신 분야에서는 주파수 밴드를 세분화하여 관리하며, 이를 기반으로 통신 기술, 레이더, 위성,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됩니다. 1. 전자기파 스펙트럼 기반 주파수 밴드 구분전자기파는 주파수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됩니다.구분 주파수 범위 파장 대표 용도ELF (Extremely Low Frequency)3~30 Hz100,000 km지하통신, 잠수함 통신VLF~HF (Very Low ~ High Frequency)3 kHz~30 MHz100 km~10 m장거리 무선통신, AM/FM 라디오VHF~UHF30 MHz~3 GHz10 m~10 cmTV 방송,..
-
P1dB와 IMD는 무엇인가?RF 2025. 6. 23. 20:29
P1dB와 IMD (Intermodulation Distortion)는 회로의 비선형 특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특히 고성능 증폭기나 수신기 설계에서 신호의 왜곡과 출력 제한을 파악하기 위해 꼭 고려해야 할 요소입니다.1. 정의 (Definition)① P1dB (1dB Compression Point)P1dB는 증폭기의 출력이 이론적인 선형 응답보다 1dB 줄어드는 지점의 입력 또는 출력 전력을 의미합니다.즉, 증폭기가 선형적으로 동작하다가 포화(saturation)에 가까워지면서 출력이 점점 덜 증가하게 되는데,이때 이론적으로 예측된 출력보다 실제 출력이 1dB 작아지는 점이 바로 P1dB입니다.GaN소자의 경우 P1dB 대신 P3dB를 주로 사용합니다.입력 기준: Inp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