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허티 증폭기는 무엇일까?RF 2025. 6. 30. 07:45
도허티 증폭기(Doherty Amplifier)는 고출력 전력 증폭기에서 중간 출력 영역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구조입니다. 1936년 W.H. Doherty가 처음 고안했으며, 현대 RF/마이크로파 시스템(기지국, 레이더, 위성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1. 기본 개념과 구성 요소
① 기본 구성
도허티 증폭기는 두 개의 증폭기로 구성됩니다.
이름 역활 Carrier 증폭기 (Main) 항상 동작하며 전체 출력의 대부분을 담당 Peaking 증폭기 (Auxiliary) 고출력 시에만 동작하여 효율 향상 기여 ② 결합 방식- 두 증폭기는 λ/4 임피던스 변환선(Quarter-wave transformer)을 통해 병렬 연결됩니다.
- 출력단은 공통 부하(R_L)에 연결됩니다.
③ 핵심 특징
- 출력 레벨에 따라 동적으로 부하를 변조(Load Modulation)함
- 고출력에서만 Peaking Amp가 활성화 → 중간 출력 효율 대폭 향상
2. 동작 원리 (Load Modulation)
도허티의 핵심은 Load Modulation, 즉 출력에 따라 Carrier 증폭기에서 보는 부하 임피던스를 동적으로 바꾸는 방식입니다.
① 1단계: 저출력 (Peaking OFF)
- 입력이 약할 때는 Carrier 증폭기만 동작
- λ/4 변환선이 Peaking 쪽을 고임피던스로 만들어줌 → Carrier는 R_L 임피던스를 그대로 봄
② 2단계: 중간 출력 (Peaking ON 시작)
- Peaking 증폭기가 점점 활성화되며 전류를 공급
- Carrier 증폭기가 보는 부하 임피던스가 낮아짐 → 전류 증가, 효율 증가
③ 3단계: 최대 출력
- 두 증폭기 모두 최대 전력으로 출력
- 부하 정합 상태로 전체 효율 최대
3. 전력 효율 특성
항목 Class-AB Doherty 최대 출력 효율 약 65% 약 65% 중간 출력 효율 급격히 하락 효율 유지 (~50% 이상) DPD 사용 시 왜곡 감소 왜곡 + 고효율 유지 가능 도허티는 특히 OFDM, LTE, 5G처럼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가 큰 신호에서 탁월한 효율을 보임.
4. 구조 확장 및 실용형
① Asymmetric Doherty
- Peaking 증폭기를 더 강하게 구성 (예: 1:1.5 비율)
- 고출력 효율 향상
② Three-Way Doherty
- Peaking 증폭기를 2개로 구성하여 효율 커버리지를 더 넓힘
③ Digital/Active Load Modulation
- 트랜지스터 동작을 디지털 제어하여 부하변조를 제어하는 방식
- DSP/FPGA 활용 가능
④ MMIC Doherty
- SoC 또는 MMIC 설계로 소형화 및 고집적화
5. 실제 회로 설계 시 고려사항
항목 설계 포인트 위상 정합 Carrier와 Peaking 경로 간 위상차 정확히 맞춰야 함 Gain Matching Peaking Amp는 적절한 시점에만 활성화되어야 함 임피던스 정합 λ/4 변환선 및 출력부 정합 정확히 설계 선형성 보정 DPD(Digital Pre-Distortion)와의 조합이 중요 기생 요소 고려 λ/4 라인 길이, 기판 특성 등 고주파 환경 정확히 반영 필요
※ 요약
장점 단점 중간 출력에서도 높은 효율 유지 구조 복잡 (위상·임피던스 정합 요구) 전력 소비 절감 (5G/Broadcast) 대역폭이 좁음 (Broadband 설계 어려움) DPD와 병용 시 고선형성 구현 설계 시 시뮬레이션 필수 (ADS/HFSS) - 도허티 구조는 "중간 출력 효율을 극대화"하는 전력 증폭기 아키텍처
- Carrier + Peaking 증폭기를 동적으로 결합하여 효율 확보
- 위상, 임피던스, 게인 정합이 성공 설계의 핵심
- 현대 RF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며, 디지털 기술과 융합된 확장형도 많음
'R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룬 (Balun) 이란 무엇일까? (0) 2025.07.01 ADS의 장/단점과 선호하는 이유 (0) 2025.06.26 OPAMP의 유래와 설계 방법 (0) 2025.06.25 FWD Detector, RVS Detector의 설명과 설계 방법 (0) 2025.06.24 도파관(Waveguide)을 사용하는 이유 (0) 2025.06.24